여성역량증진 네트워크 운영
사업목적
- 공직사회를 비롯한 각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회지도급 인사들의 축적된 역량과 성과 공유를 통한 여성인력의 지속 성장과 발굴
- 차세대 여성리더의 지속성장 기회와 연결되는 후속학습 기회의 장 마련
- 매 회 각 분야의 여성 대표성 제고를 위한 네트워크 역량 강화
- 포럼 본 및 협의체 운영을 통해 전국적 역량 증진 및 연대, 협력 강화 도모
사업내용
- 사회지도급 오피니언 리더 대상 포럼 진행
- 매 회 다양한 컨텐츠로 구성된 강연으로 창조적 리더가 꼭 알아야 할 젠더감수성 함양 및 정보 제공
- 뉴스레터 (http://born.kigepe.or.kr/) 서비스를 통해 포럼 본 조찬모임 소개 및 홍보
운영계획
구분 | 포럼 본 |
---|---|
운영횟수 | 2회 |
추진일정 | 4월, 11월 (예정) |
역량증진 네트워크 운영 개최 내역
회차 | 일자 | 내용(주제/강사) | 비고 |
---|---|---|---|
57 | 2023. 10. 24. | (DEI를 통해 조직을 읽다 : 모든 조직이 알아야 할 DEI 전략) 이중학 가천대학교 교수 |
글로벌 경영이슈로 주목 받고 있는 DEI의 중요성에 대해 확인하고 조직 문화의 행동과 문화를 바꾸기 위한 구체적인 아젠다를 고민해 보는 시간 마련 |
56 | 2023. 4. 21. | (챗GPT가 바꿀 미래 : 다양성과 포용성의 전환으로) 이시한 성신여자대학교 겸임교수 |
챗GPT등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다양성과 포용성을 통찰할 수 있는 역량 및 인류가 대응해야 할 경쟁력에 대해 고민해보는 시간 마련 |
55 | 2022. 11. 14. | (디지털 환경의 ESG, 소셜 임팩트) 박유현 DQ연구소 대표 |
디지털 변화의 시대에 필수적인 DQ의 의미와 중요성을 확인하고 젠더 관점이 포함된 시민교육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 |
54 | 2022. 06. 29. | (ESG와 젠더) 이윤정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 |
ESG와 젠더 관점에 기반한 사회 변화를 살펴보고 성평등한 공정 사회를 향한 발전 방안을 모색 |
53 | 2019. 12. 4. | (혼란의 시대,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변화) 김상경 여성금융인네트워크 회장 |
혼란의 시대에 성평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, 앞으로 마주할 변화를 젠더관점으로 모색 |
52 | 2019. 10. 15. | (AI와 젠더윤리) 송정희 전 한양대교수 |
AI의 국내외적 현황, 지속적 공론화되고 있는 윤리 문제, 젠더이슈에 대한 사례를 공유하며 성평등한 AI 시대를 위한 우리의 노력을 독려하는 시간 마련 |
51 | 2019. 06. 14. | ('정상' 가족에서 '다양한' 가족으로) 김희경 여성가족부 차관 |
'정상'가족 이데올로기 속에서 다양한 가족이 함께 살아가는 포용적 사회를 향한 우리 모두의 인식과 제도의 변화 필요성을 생각해보는 시간 마련 |
50 | 2019. 03.15. | ('소수의견'이 말하는 한국 사회의 인권) 최영미 시인 |
남성중심 사회의 관습에 도전하며 자신들의 목소리를 냈던 사포, 빈센트 밀레이, 도로시 파커 등의 여성시인들과 그들의 작품을 재조명하는 시간 마련 |
